본문 바로가기

이상갑 논문수  · 이용수 2,400 · 피인용수 20

소속기관
한국해양대학교
소속부서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
주요 연구분야
공학 > 조선해양공학 농수해양학 > 수산학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구조손상해석
#시뮬레이션
#유체-구조 연성)
#항적추정
#해양사고
#화물창 단열시스템)
#Air gun(에어건)
#Alternative energy source(대체 에너지원)
#bulk cavitation(광역 캐비테이션)
#Carbon/epoxy and Glass/epoxy composites(탄소섬유/에폭시 및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
#Carbon/epoxy(탄소/에폭시)
#Cargo Containment System(CCS
#Cargo containment system(CCS, 화물창 단열시스템)
#Collision analysis between ship to ship(선박 간 충돌해석)
#Composite laminates(적증 복합재료)
#Composite laminates(적층 복합재료)
#Composite material(복합재료)
#Compressible molding process(압축성형기법)
#Damping effects(감쇠 효과)
#External mechanics or outer dynamics(외부 역학적 문제)
#Flexible composite material propeller(유연 복합재료 프로펠러)
#Flexible propeller(유연 프로펠러)
#floating structure(부유구조물)
#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Fluid-structure interaction(FSI) analysis technique(유체-구조 연성 해석기법)
#Full scale ship collision simulation(실선 충돌 수치 시뮬레이션)
#Full-scale collision·grounding simulation(실선 충돌·좌초 시뮬레이션)
#Gas bubble pulse(가스구체압력파)
#Geers-Hunter model
#Glass/epoxy(유리/에폭시)
#Hicks model
#hull cavitation(선각 캐비테이션)
#Integrated structural dynamic response analysis(통합구조물 동적응답해석)
#Internal mechanics or inner dynamics(내부 역학적 문제)
#Local zooming analysis(국부확대해석)
#LS-DYNA code
#LS-DYNA/USA(범용 구조물 수중폭발 충격해석 프로그램)
#MAT_162
#material & structural characteristics(재료 및 구조적 특성)
#Membrane mark III type LNG carrier(멤브레인 MARK III형 LNG선)
#Open water performance(단독 성능)
#Optimal fiber array structures(최적의 섬유배열 구조)
#Progressive damage structural analysis(점진적 손상구조해석)
#Radiated noise(방사소음)
#Radiation noise(방사소음)
#Reduction of radiation noise(방사소음 감소)
#Ship motion program MCOL(선박 운동 프로그램 MCOL)
#shock response analysis(충격응답 해석)
#Shock wave(충격파)
#Sloshing(슬로싱)
#Structural safety assessment(구조 안전성 평가)
#Structural Safety Assessment(구조 안전성평가)
#Surrounding water(주변 유체)
#Underwater blasting response analysis of air gun shock test(에어건 충격시험의 수중발파 응답해석)
#UNDerwater EXplosion(수중폭발)
#UNDerwater EXplosion(UNDEX) shock test(수중폭발 충격시험)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