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성종 (Sungjong Roh) 논문수  · 이용수 17,296 · 피인용수 72

소속기관
미국코넬대학교
소속부서
커뮤니케이션학과
주요 연구분야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386세대
#강조 프레임(emphasis frame)
#경제 커뮤니케이션
#경제뉴스
#경제보도
#경제인식
#경제커뮤니케이션
#경제현실
#경제현실. 경제커뮤니케이션
#공영/상업방송
#기본적 귀인 오류
#남성 지배적 가치
#대화연결망의 다양성
#대화의 숙의수준
#문화심리학
#벡터자기회귀모형
#보수/진보지
#부음기사
#비만
#사고습관
#사전-사후측정 통제집단 실험설계
#사회적 계층성
#사회적 현실 구성
#사후과잉확신 편향
#서양 개인주의와 동양 집단주의
#선거캠페인
#세대
#소매판매액
#소통
#속성의제설정
#숙의민주주의
#시간차
#시계열분석
#시민의식
#시민참여
#위험커뮤니케이션
#의견기사
#의사결정 유형
#이슈 프레이밍
#인쇄/방송매체
#인터넷 이용
#정보화세대
#정책의제형성
#정치가치
#정치대화
#정치사회화
#정치의식
#정치참여
#주식시장
#직업 중심적 가치
#집합기억
#참여관찰
#청소년
#커뮤니케이션 효과
#탐사보도
#텔레비전 심층취재 프로그램
#투표행태
#패널조사
#프레이밍 효과
#한미 신문비교
#현장실험
#현장실험방법
#환경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속도
#효과의 시간차
#효과의 위계
#Attribute Agenda-Setting
#Broadcast Media
#campaign and election
#Citizenship
#collective memory
#Commercial Broadcasting
#communication
#Conservative News Outlets
#cultural psychology
#decision-making processes
#deliberative democracy
#deliberative political dialogue
#discussion network heterogeneity
#economic communication
#economic news
#emphasis fram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Field Experiment
#framing effects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gender inequality
#hierarchies of effects
#hindsight bias
#Internet communication
#Korean and U.S. newspapers
#KT&G
#Late adolescents
#Liberal News Outlets
#mass economic judgment
#media effects
#Obesity
#obituary
#op-ed articles
#panel study
#political dialogue
#political disagreement
#Political orientations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socialization
#Political value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Print Media
#Public Service Broadcasting
#real-world economy
#retail sales
#risk communication
#routine ways of thinking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social stratification
#social value
#stock market
#time series analysis
#timing of effects
#TV Investigative Report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oting behavior
#western individualism and oriental collectivism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