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영 (Young Min) 논문수  · 이용수 64,785 · 피인용수 322

소속기관
고려대학교
소속부서
미디어학부
주요 연구분야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TOP 0.5% 복합학 > 과학기술학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사회과학 > 사회과학 일반 사회과학 > 사회학 > 여성학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2017 presidential election
#2017년 대통령 선거
#2020 parliamentary election
#2020년 총선
#가짜뉴스
#가짜뉴스효과
#거울기법
#고정관념
#공정성
#관점 수용
#기술 수용 모델
#난민
#뉴스
#뉴스 선택성
#뉴스 프레임
#뉴스미디어
#대화연결망의 다양성
#대화의 숙의수준
#동성애
#등급
#메시지 명시성
#무례한 표현
#미디어 이용
#미러링
#민주주의
#보도 품질
#분노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
#사실확인(fact-checking)
#사회운동
#사회자본
#사회적 신뢰
#상징적 이름짓기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서울시장 보궐선거
#선택적 노출
#소통
#숙의민주주의
#시각적 이미지
#시각적 프레임
#시민의식
#시민적 연계망
#어포던스
#언론
#언론 신뢰
#엔터테인먼트
#오정보
#우호적 여론 지각
#유튜브
#이견회피행위
#이미지 속성
#인터넷 이용
#일본군 ‘위안부’
#장르
#저널리즘 전문성
#접근성
#정보격차
#정치 대화
#정치 신뢰
#정치 참여
#정치 팟캐스트
#정치 풍자
#정치가치
#정치극화
#정치대화
#정치사회화
#정치시사 인플루언서 채널
#정치의식
#정치적 관심
#정치적 신뢰
#정치적 집단정체감
#정치지식
#정치참여
#정치학습
#정파적 선택성
#정파적 편향성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
#집합행위프레임
#참여
#채널
#책임귀인
#챗지피티
#청소년
#캠페인 미디어
#태도 극화
#통제의 소재
#투표 선택
#투표 행위
#페미니즘
#폭력의 양
#폭력의 유형
#프레이밍 효과
#프레임
#프레임 정렬
#프레임 후원자
#활용성
#후보자 이미지
#후보자 호감도
#affordance
#amount of violence
#anger
#Attitude Polarization
#Attribution
#Campaign Media
#Candidate Favorability
#candidate images
#channel
#ChatGPT
#Citizenship
#Civic Association
#Collective Action Frames
#communication
#Congenial Opinion Perception
#deliberative democracy
#deliberative political dialogue
#Democracy
#digital access
#digital divide
#digital literacy
#discussion network heterogeneity
#entertainment
#fairness
#fake news
#fake news effects
#Feminism
#Frame Alignment
#Frame Sponsors
#Framing Effects
#Framing Theory
#Generative AI Chatbot
#genre
#Homosexuality
#Image Attributes
#Incivility
#Internet communication
#Internet users
#Japanese ‘Comfort Wome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Late adolescents
#Locus of Control
#Media Uses
#Message Explicitness
#Mirroring
#Mirroring technique
#misinformation
#news
#News frames
#News Media
#news selectivity
#Non-Political Online Community
#Participation
#partisan bias
#partisan selective avoidance
#partisan selectivity
#Perspective-taking
#polarization
#political dialogue
#political disagreement
#Political Group Identification
#political influencer channels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learning
#Political orientations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podcasts
#political polarization
#Political socialization
#Political Talk
#political trust
#Political values
#press trust
#prime-time television
#rating system
#refugee
#reporting quality
#selective exposure
#Seoul’s Mayoral By-election
#Social Capital
#Social Movements
#Social Trust
#stereotypes
#Symbolic Label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ype of violence
#Visual Frames
#vote choice
#YouTube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