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의 문해교육기관에서 문해교육을 받는 학습자 206명을 대상으로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하위변인으로 살펴보면, 학습환경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교육강사, 학습환경, 학습결과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내용은 약간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이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별은 차이가 없었고, 연령에서는 50세 미만과 70세 이상에서 학습지속의 높은 의사표시를 나타냈다. 참여기간, 참여동기, 학습단계, 학습지속 참여여부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내용,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환경, 순으로 다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한 결과, 문해교육 학습자는 나이가 많을수록,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만족도는 높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경우 학습지속이 높았다. 그리고 문해교육 학습자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 내용임이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tudy how the literacy learner''s satisfaction to influence learning consistence. I have applied the SPSS Statistics 22.0 program to 206 people who get literacy learning form the literacy education center of Ulsan city and concluded the following. The first, In terms of main factors with regard to learning satisfaction of literacy learners, the education environment has been the most satisfying following education results and contents. In general characteristics, learning satisfaction revel appears similar in case of educator,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contents. However, the satisfaction on learning contents has been a litter lower than others. The second, considering how general characteristics of literacy learners to influence learning consistence, there has been no sex differences and the learning consistence appears higher within 50 ages and 70 ages. In terms of attending period, attending motivation, learning revel and attending opinion, there has no been differences then they make few effects on learning consistence. The third,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 on how learning satisfaction of literacy learners to make effects on learning consistence, the order of the interrelation level is as following; learning contents, teacher qualification, learning results and learning enviroment. In conclusion, the higher ages of literacy learner, the longer attending period and in case of life needs, the higher learning consistence. With considering all factors, I have analysed that the main factors on learning consistence are learning contents.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3Ⅱ. 이론적 배경 41. 문해교육의 개념과 현황 42. 문해교육의 발전과정 83. 문해교육 학습자의 능력 수준과 학습만족도 104. 선행연구 고찰 16Ⅲ. 연구방법 201. 연구모형 202. 연구대상 193. 연구도구 234. 연구절차 255. 자료분석 25Ⅳ. 연구결과 261.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 262.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지속 여부 343.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 36Ⅴ. 논의 및 제언 391. 결론 및 논의 392. 제언 42참고문헌 43국문초록 47영문초록 48부록 50